축구
[마이데일리 = 김종국 기자] 국제축구연맹(FIFA)이 월드컵 본선 출전 국가 숫자를 다시 한 번 대폭 확대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영국 스카이스포츠는 7일 'FIFA는 2030년 월드컵에서 64개팀이 월드컵에 출전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2030년 월드컵 100주년을 맞이해 64개팀이 출전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2030년 대회는 3개 대륙의 6개국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이에 대한 계획은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FIFA 대변인은 2030년 월드컵에 64개팀이 출전할 가능성에 대해 "FIFA 이사회 회원 중 한 명이 제안했고 FIFA는 모든 제안을 분석할 의무가 있기 때문에 이번 아이디어가 인정됐다"고 언급했다.
2026 북중미월드컵은 48개팀 출전하는 가운데 기존 월드컵에 비해 월드컵 본선 진출 국가가 16개팀이 늘어났다. 2026 북중미월드컵 본선행 티켓은 아시아지역에 8.5장이 배정됐다. 2030 월드컵에서 본선 출전국이 64개국으로 늘어날 경우 아시아지역에 배정되는 월드컵 본선행 티켓 숫자도 다시 한 번 늘어날 전망이다. FIFA는 엄청난 시장가치를 보유한 중국의 월드컵 본선 출전을 이끌어내기 위해 월드컵 본선 출전 팀의 확대를 추진한다는 여론도 있다.
중국 소후닷컴은 8일 '북중미월드컵 최종예선에서 18개팀이 8.5장의 티켓을 놓고 경쟁하고 있지만 중국에게 월드컵 예선은 쉽지 않다. 2030년 월드컵에서 64개팀으로 출전국이 확대되면 아시아지역 출전권은 12.5장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중국의 경우 월드컵 예선 난이도가 크게 낮아질 전망'이라면서도 '많은 팬들은 출전국 확대보다 중국이 월드컵 개최국 자격으로 출전권을 획득하는 것이 더 가능성이 있다고 믿는다'고 언급했따.
소후닷컴은 '축구가 발전하지 않은 많은 나라들은 월드컵 본선 출전국 확대로 월드컵 본선 진출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축구 강호들에게는 예선이 큰 의미가 없고 시간 낭비일 수도 있다. 2026 월드컵에선 남미 10개팀 중 7개팀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할 수 있다'며 '월드컵 출전국이 64개국으로 확대되면 대회 일정이 2개월로 늘어날 수 있고 개최국의 경기장, 교통, 숙박에 더 많은 부담을 줄 것이다. 선수들의 피로감을 가중시킬 수 있고 낮은 수준의 팀이 참가하게 되면 경쟁 수준이 낮아진다'고 우려했다.
이 매체는 '중국은 2002년 월드컵에 처음 본선에 출전한 이후 지금까지 5회 연속 월드컵 본선행에 실패했다. 중국의 축구는 아시아에서 16위에서 18위 수준이다. 종합적인 전력을 보면 중국 축구는 아시아 중위권에 불과하다. 월드컵 본선 출전국이 확대되어 아시아에 12장의 본선행 티켓이 주어지더라도 중국이 반드시 진출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아시아축구 수준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2030년 중국축구가 어떤 수준에 있을지는 아무도 말할 수 없다. 한국,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호주 같은 강팀들은 유럽 스타일로 변화하고 있고 많은 선수들이 유럽 정상급 클럽에서 뛰고 있다. 중국 축구에선 유럽 5대리그로 진출하는 선수가 없다. 일부가 유럽 하위리그에서 뛰고 있을 뿐'이라고 자책했다.
중국은 2026 북중미월드컵 아시아지역 3차예선에 극적으로 진출한 가운데 C조에서 2승4패(승점 6점)를 기록해 골득실에서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이상 승점 6점)에 밀려 조 최하위를 기록 중이다. 중국은 2026 북중미월드컵에서 2002 한일월드컵 이후 24년 만의 월드컵 본선 출전을 노리고 있다.
김종국 기자 calcio@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