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D램 점유율, 삼성전자 1위…시장 점유율은 소폭 하락
HBM 앞세운 SK하이닉스, 'HBM' 출하량 증가로 점유율 상승
[마이데일리 = 황효원 기자] 지난해 4분기글로벌 메모리 업계의 전체 매출 규모가 4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는 4분기 D램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지켰지만 점유율은 소폭 감소했다. SK하이닉스는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 제품인 HBM3E 출하량 증가로 입지를 강화하며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삼성전자와 격차를 좁히고 있는 상황이다.
27일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글로벌 D램 업계의 매출 규모는 전 분기보다 9.9% 증가한 280억달러(40조3760억원)로 집계됐다.
삼성전자는 매출 112억5000만달러(약 16조2225억원)로 1위를 유지했지만, 시장 점유율은 41.1%에서 39.3%로 하락했다. 반면 SK하이닉스는 HBM3E 출하량 증가로 104억6000만달러(약 15조833억원)를 기록했다. 시장 점유율도 34.4%에서 36.6%로 상승하며 삼성전자와 격차를 줄여나갔다.
3위 마이크론은 전분기 대비 10.8% 증가한 64억달러(약 9조2288억원)의 매출로 시장 점유율 22.4%를 차지했다. 서버용 D램과 HBM3E 출하량 확대로 인해 안정적인 시장 점유율을 유지했다.
트렌드포스는 "올해 1분기 전통적으로 비수기에 접어들면서 D램 제조업체의 전반적인 비트 출하량이 감소가 예상된다"면서 "CSP(클라우드서비스업체) 수요 둔화로 D램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황효원 기자 wonii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