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대한상의, 탄소중립 에너지 정책세미나
"전력수요처에 발전설비 구축하는 분산형 시장 필요"
시민단체들 "자발적인 시민참여 이끄는 인센티브 구축해야"
[마이데일리 = 황효원 기자]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전력시장에 경쟁체제를 도입하고 전력 수요처에 발전설비를 구축하는 '분산형 시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31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 회관에서 CF(무탄소)연합과 함께 '탄소중립, 어떻게 하나요'를 주제로 '제7회 탄소중립과 에너지 정책 세미나'를 공동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회성 CF연합 회장을 비롯한 정부 관계자, 기업, 학계, 시민단체 등 각계 주요 인사 300여명이 참석했다.
탄소중립과 에너지 정책 세미나는 최 회장의 제안으로 국가적 아젠다인 탄소중립과 에너지 정책 해법을 모색하는 취지에서 2022년부터 열리고 있다.
안 장관은 축사에서 "정부는 탄소중립 시대에 우리 사회가 지속 가능한 번영을 영위할 수 있도록 무탄소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앞당기고, 이를 제도적으로 든든히 뒷받침함과 동시에 AI 등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기술 혁신을 통해 에너지 독립을 이루면 통상과 산업구조 문제 등 여러 문제를 해결할 길이 열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AI기술에서 중국 등 경쟁국보다 크게 뒤처지면 산업 경쟁력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최 회장은 "한국은 지금까지 에너지를 전량 수입해 왔지만 기술 혁신을 통해 에너지 독립을 이루면 산업 경쟁력뿐 아니라 경제 안보도 강화할 수 있다"며 "에너지나 에너지솔루션을 해외에 수출하는 새로운 구조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대한민국은 여태까지 수출주도형, 제조업을 중심으로 해왔던 나라이고 아직도 상당 부분 의존하고 있는데 중국 등 다른 경쟁자가 AI를 더 많이 써서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하다보면 한국 입장으로선 '밥그릇'이 날아갈 수도 있다"고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탄소중립과 인공지능(AI) 시대에 현재의 중앙집중형 전력시스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전력수요처에 발전설비를 구축하는 분산전원의 필요성 및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했다.
조홍종 단국대학교 교수는 "반도체 클러스터와 데이터센터에 안정적 전기 공급을 위해서는 현재 중앙집중형 에너지 시스템을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으로 재편해야 한다"며 "산업단지와 발전설비의 지리적 매칭을 통해 송전 비용 최적화, 지리적·시간적 소매요금 차등을 통한 지산지소(地産地消) 분산형 시장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종배 건국대학교 교수는 "AI 시대에는 전력산업의 경쟁력이 곧 국가 경쟁력이 될 것이며, 이는 전력공급의 안정성, 경제성, 환경성의 3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며 "원자력과 재생에너지의 균형 있는 발전과 경직성 자원인 원자력과 재생에너지를 보완할 수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와 가스발전, 튼튼한 송배전망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탄소중립 시민 참여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이날 토론에는 환경운동연합, 에너지시민연대, 자원순환사회연대, 한국기후·환경네트워크, 에코나우 등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환경 분야 시민단체들이 대거 참여했다.
김상엽 한국기후·환경네트워크 사무총장은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탄소감축 방법에 대한 실질적인 인센티브 제도가 필요하다"면서 "정책적으로 정부와 기업, 시민이 함께하는 탄소중립 실천모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황효원 기자 wonii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