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한화에어로 유상증자 논란 전격 증여로 승계 '정공법'
지분율 42.67%로 그룹 승계 사실상 마무리
증여세만 2218억원 규모…투명·성실하게 납부 예정
[마이데일리 = 황효원 기자]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세 아들에게 지주사 지분 절반을 증여, 승계 마무리 수순에 돌입했다. 최근 3조6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사 추진 결정 등으로 불거진 승계 논란을 일단락한 모습이다.
㈜한화는 김 회장이 보유한 ㈜한화 지분 22.65%의 절반인 11.32%를 세 아들에게 증여했다고 31일 공시했다. 증여 후 ㈜한화 지분은 한화에너지가 22.16%로 가장 많고, 김 회장 보유 지분은 11.32%로 줄어든다. 장남인 김동관 부회장 지분은 9.77%, 차남 김동원 사장과 삼남 김동선 부사장 지분은 각각 5.37%가 된다.
㈜한화 지분이 가장 많은 한화에너지는 김 회장의 세 아들이 지분 100%를 보유한 회사로 김동관 부회장 지분이 50%로 가장 많고, 나머지 두 아들이 25%씩 보유하고 있다.
한화에너지 지분을 ㈜한화 지분으로 환산해 더할 경우 김동관 부회장의 지분율은 20.85%로 늘어 ㈜한화의 최대 주주가 된다. 김승연 회장과 김동원 사장, 김동선 부사장이 각각 11.33%, 10.91%, 10.91%씩 ㈜한화 지분을 보유하게 된다.
지분 증여로 김동관 부회장 등이 내야 할 증여세는 2218억원 규모다. 4~31일까지의 평균 주가(4만1130원)를 기준으로 증여 지분 가치를 계산하고, 50% 세율 및 각종 공제를 적용한 결과다. 앞서 2006~2007년 김승연 회장이 ㈜한화 지분 일부를 증여했을 때도 세 아들은 1216억원의 증여세를 납부한 바 있다. 김승연 회장도 1981년 당시 역대 최대 수준인 277억원을 상속세로 냈었다. 김동관 부회장과 김동원 사장, 김동선 부사장은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 따라 과세된 증여세도 투명하고 성실하게 납부할 계획이다.
김승연 회장이 지분 증여를 단행한 건 현재 진행 중인 3조6000억원 규모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를 둘러싼 논란을 직접 해소하고 본연의 사업에 집중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한화그룹은 경영권 승계와는 무관한 시급한글로벌 투자실행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선을 그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유럽 방산 블록화, 선진국 경쟁 방산업체들의 견제를 뛰어넘는 현지 진출 등 더 큰 도약을 위해 적극적인 투자가 시급하다고 판단해 유상증자를 결정했고 한화오션에 대한 지배력 강화로 방산·조선·해양 육해공 패키지 영업 시너지를 내기 위해 한화오션의 일부 지분을 인수했다는 것이 한화 측의 입장이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유상증자를 포함해 중장기적으로 약 11조원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해외 지상 방산, 조선해양, 해양 방산 거점을 확보해 글로벌 방산, 조선해양, 우주항공 분야의 톱-티어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세웠다. 한화그룹 관계자는 "이번 지분 증여로 승계 관련 논란을 해소하고 방산, 조선해양, 우주항공 등 국가적 차세대 핵심사업에 집중해 기업가치 제고와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화그룹은 경영권 승계 논란이 일단락된 만큼 당초 계획대로 본연의 사업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한화 주가는 2월10일 자회사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한화오션 지분 일부를 인수한다고 발표한 뒤 크게 올랐다. 3년간 2~3만원 수준이었던 주가가 3월10일 5만2300원까지 상승했다. ㈜한화 주가는 31일 종가 기준 4만950원이다.
황효원 기자 wonii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