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도도서가 = 북에디터 정선영] “자, 소리를 약하게 내보세요.”
기타 레슨 중 선생님이 말했다. 연주에서 리듬감을 느끼려면 강약 조절은 필수다. 나는 기타를 배우기 시작하면서부터 이 리듬감 때문에 고전하고 있다.
기타 선생님은 그동안 내게 리듬감을 길러주려 여러 방법을 시도했다. 메트로놈 박자에 맞춰 입으로 딱딱 소리를 내거나 테이블 치기를 반복하기도 하고, 오른손 스트로크 연습을 하며 박자에 맞춰 발구르기도 해봤다.
이번에는 기타를 약하게 연주하여 강약 조절, 즉 리듬감을 익히게 하려 하고 있다. 기타 선생님은 영화 <머니볼>의 OST ‘더 쇼’를 틀고 볼륨을 줄이더니 “이 소리가 들릴 정도로 기타 소리를 작게 내봐요” 했다.
그런데 이게 웬걸. 소리를 약하게, 작게 내려고 할 뿐인데, 나는 자주 박자가 느려진다. 원곡 흐름을 아예 쫓아가지 못하고 있다. 곧장 선생님 말이 이어진다. “느리게가 아니라, 작게 약하게 치라고요.” 아니 선생님, 제가 그걸 모르는 게 아닙니다만….
나는 단어 정의와 적확한 사용에 민감한 북에디터다. 하루에도 수십 수백 번씩 표준국어대사전을 찾는다. ‘작게’ ‘약하게’라는 단어 뜻을 모를 리 없다. 그런데 내가 그걸 안다고 연주로 구현해낼 수 있는 건 아니다.
‘강하게’ 치라는 선생님 주문에 제대로 응하지 못할 때가 많았는데, 이상하게도 약하게 치려고 하면 할수록 오른손에 힘이 들어가는 느낌이 났다. 내 의지와 상관없이 자꾸 힘이 들어가는데 그럼에도 약하게 치려고 하다 보니 박자가 느려지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평소 기타 선생님이 내게 지적하는 것 중 “하나가 어깨에 너무 힘이 들어가 있다”이다. 이렇게 동작이 부자연스러우니 연주도 물 흐르듯 흐르지 않는다.
흔히 운동에서도 ‘힘 빼기’ 중요성은 강조된다. 불필요한 힘을 빼야, 힘을 줘야 할 때 제대로 줄 수 있다. 일생생활에서도 마찬가지다. 너무 힘만 주고 있으면 금방 지치고 무미건조해진다. 어느 분야든 강약 조절이 중요하다.
가을 완곡을 목표로 맹렬히 연습 중인 ‘더 쇼’를 칠 때마다 선생님은 내게 “강하게” “세게” 같은 주문을 한다. 나름 구현해보려 하지만 아마추어인 내 귀에도 강약 차이가 거의 없다.
숙제가 또 늘었다. 그래, 힘 한번 빼보자.
|정선영 북에디터. 마흔이 넘은 어느 날 취미로 기타를 시작했다. 환갑에 버스킹을 하는 게 목표다.
이지혜 기자 imar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