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국과수 화재 정밀감식 결과 공개
선반 인근서 보조배터리 잔해 발견
[마이데일리 = 심지원 기자] 지난 1월 28일 김해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홍콩행 BX391편 화재가 보조배터리 합선으로부터 시작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4일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관계 기관의 합동 수색 과정에서 발화 지점으로 의심되는 객실 좌측 30번열 인근에서 확보한 전기 배선과 조명기구, 보조배터리 잔해를 국과수로 이송해 정밀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국과수는 조사에서 보조배터리 잔해에서 다수의 전기적 용융흔(녹은 흔적)이 식별했는데, 배터리 내부에서 양극과 음극이 합선된 상태를 뜻하는 '절연파괴'가 발생하면서 최초 발화됐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봤다.
다만 "배터리 잔해는 심하게 연소해, 검사만으로 어떤 원인에 의해 배터리 내부에서 절연파괴가 발생했는지 직접 논단이 어려운 상태"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항공기 전기 배선이나 조명 기구, 기판 잔해 등 내부 구조물에서도 발화와 관련지을 전기적 특이점은 식별되지 않은 상태"라며 "항공기 내부 시설물에 의한 발화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전했다.
항철위는 현재까지 조사 결과를 토대로 보조배터리에 의한 화재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계속 조사를 수행할 예정이며, 사고 조사 과정에서 안전 조치가 필요한 경우 항공사 등에 안전권고를 발행할 계획이다.
심지원 기자 s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