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일반
한국인 직원 채용·통합 물류시스템 구축 준비
월간 활성 이용자 수 '800만명' 돌파 업계 3위
[마이데일리 = 한종훈 기자] 중국 이커머스 테무의 한국 시장 공략이 가시화하고 있다.
미국에서의 부진을 한국에서 만회하겠다는 복안이다. 세계 최대 미국 시장의 관세장벽과 소비심리 위축으로 부진이 예고되면서 한국 시장에서 승부를 거는 셈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테무는 지난해 말부터 한국인 직원 채용을 확대하며 한국시장에 공을 들이고 있다.
테무는 인사, 총무, 홍보·마케팅, 물류 등 직군의 한국인 직원 채용 절차를 진행 중이다. 국내 통합 물류시스템 구축도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까지는 테무는 협업하는 복수의 통관업체에서 한국 내 '라스트마일'(주문한 물품이 고객에게 배송되는 마지막 단계) 물류를 담당해왔다. 테무 상품은 CJ대한통운과 한진이 주로 배송하고 있다. 앞으로는 공개 입찰을 통해 주요 물류업체와 계약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물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테무의 이러한 움직임은 한국 시장 직접 진출을 위한 사전 작업으로 풀이된다. 단순히 해외 직접구매가 아닌 공격적인 마케팅을 전개한다면 한국 시장에서 성장 속도는 더 빨라질 수 있다.
또 다른 중국 이커머스 알리는 이미 지난 2019년 처음 한국어 판매사이트를 열어 영업을 시작했다. 2023년 8월 한국법인 설립과 사무소 개설, 한국 직원 채용 등의 현지화 절차를 밟았다.
테무 역시 알리와 흡사한 절차를 밟고 있다. 테무는 2023년 7월 한국어 판매사이트를 개설해 영업을 개시했다. 지난해 2월 한국법인을 설립했다.
테무가 한국 시장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그동안의 운영을 통해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테무 애플리케이션 월간 활성 이용자 수는 823만명이다. 쿠팡 3302만명, 알리 912만명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한국 시장에 처음 발을 들인 2023년 8월 52만명 보다 이용자 수가 17.5배 늘었다. 알리가 약 5년에 걸쳐 확보한 고객을 2년도 안 돼 가져갔다.
미국 시장에서 불리해진 여건도 한국 시장 진출을 서두르게 하는 이유다. 테무는 세계 최대 이커머스 시장인 미국에서 온라인 쇼핑몰 앱 다운로드 수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그러나 미국 정부는 중국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 소액 물품에 적용되던 디 미니미스 면제 규정도 유효하지 않는다. 그동안 미국에서는 디 미니미스 규정으로 800달러 이하 상품을 구입할 때 관세를 적용받지 않았다.
테무는 이 규정의 대표적인 수혜자였다. 관세가 적용되면 앞으로 초저가 경쟁에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시장을 최전방에 앞세운 사업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 이커머스 시장은 연간 거래액이 242조원대로 세계 5위권 규모다”면서 “테무가 한국 시장에 직접 진출하면 국내 이커머스 시장 경쟁에도 적지 않은 변화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종훈 기자 gosportsman@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