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종합
미국 프로야구(MLB) 역사는 149년. 모두 2만2,564명 선수가 뛰었다. 그 가운데 267명. 단 1.1%만이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좁디좁은 문. 역대 최고의 선수로 역사의 공인을 받는 길은 쉽지 않다. 까다로운 자격 조건에 맞아야 한다. 그렇다고 뽑히는 것은 아니다. 결정은 사람이 하는 것. 복잡한 과정을 거치면서 사람 마음에 들어야 한다. 인간은 변덕의 동물. 어떤 조건보다 더 어려운 관문이 마음의 문이다. 그래서 편견 논란도 많다.
피트 로즈는 메이저 리그 사상 가장 많은 4,256 안타를 쳤다. 17번이나 올스타에 뽑혔다. 그러나 ‘신시내티 레즈’ 감독 시절 신시내티 경기에 돈을 걸었다는 이유로 1989년 MLB에서 영구 제명. 탈세 혐의로 5개월 복역도 했다. 이미 세상을 떠난 로즈가 사면될 경우 MLB도 제명을 취소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최근 알려졌다. 그러면 자연스레 명예의 전당 헌액 논쟁이 일 것이다.
명예의 전당 투표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선수의 경기력. 뛰어난 업적을 남기지 않으면 후보조차 될 수 없다. 야구 실력으로만 따지면 로즈는 당연히 헌액되어야 한다. 그러나 ‘인물 조항’이 있다. 선발위원들은 선수의 인간 됨됨이는 물론 사회생활 모든 면을 꼼꼼히 따진다.
1919년 ‘블랙 삭스 사건’으로 영구 제명된 슈얼리스 조 잭슨처럼 경기 도박은 용서받을 수 없다고 보는 시각이 있다. 그래서 로즈의 헌액은 당분간 쉽지 않으리라 전망된다. 잭슨은 통산 0.356의 높은 타율을 기록한 대선수. 그러나 1919년 ‘시카고 화이트삭스’ 선수로 월드 시리즈 출전 때의 경기 조작 혐의로 동료 7명과 함께 제명됐었다.
로즈나 잭슨처럼 규정 위반이 명백한 경우는 논란이 적다. 뛰어난 업적을 남긴 선수들이 탈락하거나, 뽑히고도 이외의 득표를 했을 때는 뒷말이 따른다. 제각기 다른 가치와 이념을 가진 사람들이 ‘인물 조항’에 따라 정성 평가를 하기 때문이다. 선수의 품성·태도 등은 점수를 매기기 어렵다. 보는 눈이 다 다르니 객관성이 문제 될 소지가 크다.
베이브 루스는 야구의 상징이며 대명사. 1914년부터 1935년까지 뛰면서 불멸의 기록을 남겼다. 통산 타율 0.342, 홈런 714개 (역대 3위), 장타율 0.690 (역대 1위), 출루율+장타율 1.164 (역대 1위), 타점 2,214점 (역대 2위).
그는 1936년 첫 번째 명예의 전당 투표에서 95%의 지지를 받았다. 만장일치가 아니었다. 226명 선발위원 가운데 11명이 그를 뽑지 않았다. 루스를 빼고는 야구를 이야기할 수 없다고 하는데도. 헌액된 5명 누구도 만점을 받지 못했다. 통산 타율 0.366으로 역대 1위며 12번 타격왕 타이 콥도 98%였다. 야구인들은 놀랐다.
이유를 두고 많은 말이 오갔다. 야구 역사가·평론가 등이 추론하는 가장 큰 이유는 “누구도 만장일치는 안 된다”는 일부 기자의 생각. 그들이 야구계가 납득키 어려운 오만한 고집으로 루스와 같은 당연한 후보를 일부러 빼버렸다는 것이다. 당시 ‘야구 기자 협회’가 선발권을 쥐고 있었다.
다른 이유는 기자들의 루스에 대한 개인 반감. 그의 음주와 떠들썩하고 자유스러운 성격을 탐탁지 않게 여겼다. 독주하는 ‘뉴욕 양키스’를 루스가 상징하기 때문에 ‘반 뉴욕 양키스’ 감정에다 “골고루 다 잘하는 선수는 아니다”는 평가도 작용했다.
■아무리 위대한 선수라도…MLB 명예의 전당 헌액 막을 꼬투리는 얼마든지 있다
이처럼 아무리 위대한 업적을 남긴 선수라도 명예의 전당 헌액을 막을 꼬투리는 얼마든지 잡을 수 있었다. 누구든 모든 사람의 기분·감정·기대를 만족시키기 쉽지 않음을 첫 명예의 전당 투표가 보여주었다.
모든 운동 중에서 “야구만큼 불문율이 많은 스포츠는 없다.” 이런저런 탓을 대며 “누구도 만장일치는 안 된다”는 투표 행태는 메이저 리그의 비공식 규칙이자 전통이 되었다. 그 불문율 같지 않아 보이는 불문율이 드디어 2019년에야 깨졌다. 83년만.
어떤 선발위원도 흠 잡을 수 없는 후보가 나타난 것. 마리아노 리베라. 역대 최고의 마무리 투수라 불린 그는 100%, 사상 첫 만장일치 헌액자가 되었다. 합리성 모자란 낡은 투표 관행도 리베라의 어떤 꼬투리도 찾지 못했다.
역대 최다 652세이브. 19년간 평균자책점 2.21. 포스트시즌 역대 최다인 42세이브 등. 훌륭한 기록이 전부가 아니었다. 그는 나무랄 데 없는 인격·스포츠 정신과 프로다운 태도로 존경받았다. 약물 사건, 사생활 문제 등이 없었다. 마무리 투수에 대한 가치 재평가도 한몫했다. 그의 경기 지배력이 마무리 투수를 다소 우습게 보던 인식을 바꿀 정도였다.
리베라에 의해 만장일치의 길이 열렸으나 여전히 ‘인물 조항’은 명예의 전당 헌액의 큰 장애물. 커트 실링은 뛰어난 선수였으나 경기 바깥의 논란과 야구 기자들과의 불화 등으로 뽑히지 못했다.
그는 2001년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와 2004년, 2007년 ‘보스턴 레드삭스’의 월드시리즈 우승에 핵심 역할을 했다. 기막힌 제구력으로 통산 탈삼진/볼넷 비율은 4.38. 역대 최고 수준. 시합 중 양말에 피가 배어도 그대로 던질 정도의 강한 정신력을 가진 선수로 유명했다.
그러나 실링은 투표권을 가진 기자들을 “편향된 자격 없는 집단”이라고 공개 비판했다. 기자들이 동성애를 반대하는 자신을 비난한 것 등에 대한 역공. 결국 투표에서 떨어지자 실링은 다음 투표에서 자신을 빼달라고 기자협회에 요청했다.
알렉스 로드리게스는 통산 696홈런에 최우수선수 3회, 올스타 14회를 기록했다. 그러나 ‘텍사스 레인저스’에서 뛰던 시절 금지 약물 복용 전력 때문에 21년 첫 명예의 전당 투표에서 떨어졌다. 34% 득표율로 헌액 기준인 75%에 크게 못 미쳤디. 762개 홈런으로 역대 1위 배리 본즈, 한 시즌 70개 홈런의 마크 맥과이어와 같은 선수들도 약물 복용 탓에 명예의 전당 입성을 이루지 못했다.
이런저런 이유로 많은 대선수가 명예의 전당 문턱에서 물러섰다. 더욱이 리베라가 100% 득표의 문을 열었지만 제2의 리베라는 나오지 않고 있다. 데릭 지터는 1표, 켄 그리피 주니어는 3표가 모자랐다. 그만큼 전혀 흠결 없는 선수가 없기 때문인가? 선발자들이 지나치게 까탈스러운 탓인가?
명예의 전당 88년 역사에서 딱 한 명뿐인 완벽한 선수·인간 리베라. 파나마 태생의 그는 중학교를 중퇴한 뒤 바다에서 고기를 잡아 파는 일을 했다: “나는 완벽하지 않다. 누구도 완벽하지 않다. 하지만 우리는 지금보다 더 나아지려고 노력할 수 있다.” 선발위원회가 새겨들어야 할 말이다.
손태규 칼럼니스트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