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4대그룹 총수, 내달 미국 방문…인맥 강화 총력전
트럼프 당선인, 국내 총수들과 회동 여부 '관심'
한경협 내달 한미재계회의 개최…시너지 효과 강조할 듯
[마이데일리 = 황효원 기자] 국내 재계가 내년 1월 출범하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대응 체제 구축에 나서고 있다. 국내 주요 기업들은 8년 전과 달리 트럼프 재선에 미리 대비해온 만큼 더욱 강화될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자국우선주의' 정책 대응을 위해 미국 인맥 강화 총력전에 나서는 모양새다.
11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SK·현대차·LG 등은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형성한 네트워크와 해외 대관조직을 한층 강화해 트럼프 2기를 비롯한 미국 정계와 소통을 이어갈 계획이다. 국내 재계 인사들이 지금의 미국 정부 관계자 뿐 아니라 트럼프 당선인 측근 인사들과도 꾸준히 소통해왔기에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우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2016년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인 신분으로 전 세계 IT 기업인들을 위한 '테크 서밋'을 열었을 때 한국 기업인 중 유일하게 초청받은 인물이었다. 다만 이 회장은 당시 국정농단 사태로 수사받던 중이어서 특검의 출국 금지 조치로 행사에는 참석하지 못했다.
대신 이 회장은 2019년 6월 트럼프 대통령 방한 때 국내 주요 그룹 총수들과 함께 인사를 나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이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을 직접 호명한 뒤 대미 투자에 대한 감사의 뜻을 표하기도 했다.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맡고 있는 최태원 회장은 7일 트럼프 당선인에게 서한을 보내 "확고하고 결단력 있는 리더십이 미국 경제회복을 가속화하고 세계 경제의 지속적인 번영에 기여할 것"이라며 축하 인사를 전했다. 최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인 내년 2월 '트랜스퍼시픽 다이얼로그'(TPD) 참석차 워싱턴DC를 찾을 가능성이 나오고 있다. 최 회장이 이사장을 맡고 있는 최종현학술원은 2021년부터 매년 미국에서 TPD를 열고 한미일 3국의 전현직 고위 관료와 세계적 석학, 싱크탱크, 재계 인사들과 국제 현안을 논의하고 협력의 해법을 모색하고 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그간 트럼프가 속한 미국 공화당 인사들과 친분을 쌓으며 소통을 강화해왔다. 정 회장은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고위 관료들을 그룹의 해외 대관 담당으로 대거 영입했다. 2020년 로버트 후드 전 미국 국방부 법제처 차관보를 워싱턴사무소 정부 업무 담당 부사장에 임명, 올해 1월 성 김 전 주한 미국대사를 그룹 고문으로 합류시킨 것이 대표적이다.
정 회장은 올해 3월 트럼프의 최측근인 세라 허커비 샌더스 미국 아칸소 주지사가 한국을 찾았을 때 직접 만나기도 했다. 이런 인연으로 트럼프의 또 다른 측근인 프레드 플라이츠 미국우선주의정책연구소(AFPI) 부소장은 올해 7월 국내 대기업 중 유일하게 현대차그룹 본사를 찾았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2022년 트럼프 1기 백악관 부비서실장을 지낸 조 헤이긴을 영입해 새로 개설한 워싱턴사무소를 맡기고 미국 정부와 의회 등을 대상으로 한 대외협력 업무를 총괄하도록 했다.
재계에 따르면 4대 그룹 경영진들은 내달 워싱턴DC를 찾아 미국 정·재계 인사들을 잇따라 만난다. 한경협과 미국 상공회의소가 다음 달 둘째 주 초 워싱턴DC에서 개최하는 제35차 한미재계회의에 참석하기 위해서다.
이 회의에는 류진 한경협 회장을 비롯해 삼성·SK·현대차·LG등 4대 그룹 사장급 인사들이 대거 참석할 전망이다. 트럼프 당선 후 처음으로 한국과 미국 정 ·재계인들이 만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재계의 대표적인 '미국통'으로 꼽히는 류 회장이 한경협 수장이 된 이후 처음으로 주관하는 한미재계회의인 만큼 국내 산업계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한경협과 4대 그룹은 국내 경제계 입장을 트럼프 당선인 및 공화당 싱크탱크, 미 의회 등에 전달한다는 입장이다. 트럼프 인수위원회가 내달 중 가동되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회의에서 기업인들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주요 산업·통상 정책을 미리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 기업인들에겐 미국 정·재계 인사들, 트럼프 2기 정부 인사들과 만나 현지 동향을 살피는 등 친분을 쌓으며 소통할 수 있는 자리다.
4대 그룹은 해외 대관 조직도 강화해 인맥 구축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해 말 해외 법인 관리와 현지 정·재계의 소통을 맡은 글로벌 대관조직인 글로벌퍼블릭어페어스(GPA)팀을 실 단위로 승격했다.
SK그룹은 북미 대관 콘트롤타워인 'SK 아메리카스'를 바탕으로 트럼프 2기 인사들을 공략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도 올해 초 해외 대관 조직인 'GPO'(Global Policy Office)를 사업부급으로 격상시켰다. LG그룹은 지난해부터 글로벌 대응 총괄조직인 글로벌전략개발원을 가동했다.
이에 더해 그룹 총수들도 트럼프와의 만남을 위해 물밑 조율 중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아직 구체적인 미국 방문 계획은 나오지 않았지만, 이전 조 바이든 대통령이 정 회장, 최 회장과 단독으로 만났던 것을 고려하면 향후 트럼프 당선인과도 같은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황효원 기자 wonii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