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트럼프, 자동차 25% 관세 3일 발효…수조원 피해 예상
현대차그룹, 연간 영업익 5조7000억원 감소 전망
한국GM, 한국 '철수설' 일축…"시나리오 준비 중"
[마이데일리 = 심지원 기자]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면서 자동차 업계의 수출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26일 발표한 자동차 및 주요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가 미국 동부시간 3일 오전 0시 1분에 시행됐다. 한국은 3일 오후 1시 1분부터 적용됐으며, 이때를 기점으로 미국으로 수출 시 25%의 관세가 붙게 됐다.
이에 따라 한국 대미 수출 품목 중 수출량 1위인 자동차 업계가 직격탄을 맞게 됐다. 그중 미국 수출량이 많은 국내 완성차 업체인 현대차그룹과 한국GM은 수익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대미 자동차 수출 규모는 347억4400만달러(약 51조원)로, 지난해 대미 수출액 1298억 중 약 27.2%를 차지한다. 전 세계 수출 규모인 707억8900만달러(101조7875억원)에서는 거의 절반 비중인 49.1%를 차지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관세 부과로 한국 자동차 수출액이 지난해 대비 63억5778만 달러(9조2000억원)가량 감소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현대차와 기아의 경우 연간 영업이익이 각각 3조4000억원, 2조3000억원 줄어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러한 관세에 현대차그룹은 최근 210억 달러(약 31조원) 규모의 미국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연산 규모를 50만대로 늘려 대응에 나섰다. 만일 계획대로 HMGMA의 생산 규모가 50만대로 늘려지게 된다면 현대차 영업이익은 오히려 5000억원 정도 증가해 유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기아는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해 현대차그룹 최고경영자(CEO)들도 현지 상황에 맞춰 대응할 것이라고 전했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지난 3일 '2025 서울모빌리티쇼' 미디어 행사에 참석해 "관세 발표를 봤고, 그 영향을 평가하고 있다"며 "미국 시장에서 늘 경쟁력을 유지해 나갈 것이며, 현재 미국에서 자동차 가격을 인상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송호성 기아 사장은 "HMGMA에서 생산되는 차의 40%는 기아 차량이 될 것"이라며 "내년 중반부터 생산될 것으로 기대하고, EV6와 EV9은 조지아주 공장에서 생산되고 있기 때문에 생산 차종은 하이브리드차(HEV)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아울러 멕시코 공장 생산·수출 계획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현재 그럴 계획은 없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현지 생산 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선 현대차그룹과 달리 한국GM의 경우 지난해 전체 생산량(49만9559대) 중 약 83.8%인 41만8782대를 미국으로 보냈기 때문에 이번 관세로 인한 최대 피해기업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한국GM의 매출 실적을 견인하는 베스트셀러 '트레일블레이저'와 '트랙스 크로스오버'의 가격이 기존 2만5000달러(약 3600만원)에서 관세 적용 시 3만1000달러(약 4500만원)까지 오르게 되면서 회사의 비용 부담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GM은 지난해 국내 완성차 업체 중 가장 저조한 내수 판매를 기록하면서 한국공장 철수설도 빈번히 제기되고 있다.
현재 한국GM은 철수설을 완강히 부정하고 있다. 헥터 비자레알 한국GM 사장도 지난달 임직원과의 미팅에서 "회사는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비해 왔고, 한국 사업은 계속 운영할 것"이라고 철수설을 일축했다.
그러면서 "생산 계획에 변화가 생기면 리더십에서 즉각 소통하겠다"며 "관세 문제에 대해서도 다양한 시나리오를 가지고 꾸준히 준비 중"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한국GM이 아직까지 국내에 신차 출시를 하지 않은 데다가 정확한 대응 방안을 발표하고 있지 않아 철수설은 계속해서 언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관세가 부과되면서 자동차 부품업계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부품업계는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해 국내외 완성차 업체의 판매 감소와 함께 부품 수출까지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또 산업 전반의 피해 규모가 수조원에 이를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부품업계 관계자는 "관세로 인해 현지 생산 확대와 공급망 재편이 불가피해진다"며 "국내 부품업체의 직·간접 수출이 위축되고 매출 감소, 고정비 부담 증가 등 경영 압박이 가중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심지원 기자 s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